반응형
광주광역시 2025년 달라지는 청소년, 가족 정책 제도 어떻게 변했는지 확인해 볼까요.
✓청소년한부모 아동양육비
○ 2세 이상 자녀 월 35만 원 → 월 37만 원
※ 0~1세 자녀 : 전년 동일(월 40만 원)
|
✓가정위탁아동양육보조금
○ 연령 무관 월 36만 원(1인) → 연령별 확대
※ 7세 미만 동일
※ 7~13세 미만 40만 원, 13세 이상 45만 원
|
✓결식아동 급식지원
○ 저소득층 등 결식 우려 아동
○ 1식 단가 인상
9,000원 → 9,500원
|
✓저소득 여성청소년 생리용품
○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 등
○ 연 최대 156천 원 → 168천 원(월 14천 원)
※ 생리용품 구입 가능 바우처 제공
|
✓쉼터 퇴소청소년 자립지원 수당
○ 청소년쉼터 퇴소 청소년
○ 월 40만 원 → 월 50만 원(1인/ 최대 5년)
|
✓(신규)고립·은둔청소년 원스톱패키지
○ 관내 고립·은둔 청소년
○ 고립·은둔 청소년의 조기발굴 및
지원을 위한 검사, 1대1 전담 사례관리 상담 및
유관기관 연계 등 지원
|
✓새일여성 인턴 지원금
○ 새일센터에 구직·구인 등록 여성 및 기업
○ 9개월 동안 총 380만 원 → 총 460만 원 확대
|
✓성폭력 보호시설 퇴소자 자립정착금
○ 성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입소 후 퇴소자
○ 5백만 원 → 10백만 원 확대
|
✓성폭력 보호시설 퇴소자 자립지원수당
○ 성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입소 후 퇴소자
○ 월 50만 원
|
✓한부모가족 지원
○ 아동양육비 월 21만 원 → 월 23만 원
○ 학용품비 중·고등학생 자녀
↓
초·중·고등학생 자녀
|
✓(신규)양육비 선지급제 도입
○ 양육비 채권이 있으나, 지급받지 못하는
기준 중위소득 150% 이야 가구의
만 18세이하 미성년 자녀
○ 자녀 1인 당 월 20만 원,
만 18세 이하까지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