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달라지는 돌봄 정책 제도 한눈에 보기

by 땡쓰 지니 2025. 3. 17.
반응형

광주광역시 2025년에 달라지는 돌봄 정책 제도 어떻게 변했는지 확인해 볼까요.

✓육아휴직
○ 부모 각각 1년 → 1년 6개월
○ 휴직급여(1~12월) 월 150만 원
(1~3월) 월 250만 원, (4~6월) 월 200만 원
(7월~) 월 160만 원
○ 부모 각각 1년 → 1년 6개월
(1월) 월 200만 원 → 월 250만 원
※ (2월) 월 250만 원, (3월) 월 300만 원
(4월) 월 350만 원, (5월) 월 400만 원
(6월) 월 450만 원
✓육아기 근로시간 단축
○ 사용기한 최대 2년 → 최대 3년
✓초등학부모 10시 출근제
○ 초등학부모 근로자가 근무하는
관내 300인 미만 중소사업장에 장려금 지급(2개월)
○ 300건 → 500건
○ 374천 원/월 → 400천 원/월
✓(신규)대체인력 근로자 인센티브
○ 중소기업에 취업한 출산·육아기
대체인력 근로자에게 인센티브 지원
○ 최대 200만 원
※ 매 3개월 100만 원 X 2회
✓(신규)소상공인 육아응원패키지
○ 소상공인 아이돌봄서비스 지원
- 소상공인 사업주 또는 종사자로
3개월~12세 이하 아동 양육자 / 200명
- 아이돌봄 이용료 최대 360만 원(60만 원X6개월)
○ 1인 여성 자영업자 대체인력비 지원
- 1인 여성 자영업자 50명
(임신 확인 시~출산 후 6개월 이내)
- 대체 인건비 최대 300만 원(100만 원X3개월)
✓아이돌봄서비스 지원
○ 생후 3개월~만 12세 이하 아동
○ (영아종일제) 월 200시간
(시간제) 연 960시간 한도
○ 소득기준에 따라 서비스 이용요금
차등지원 확대
중위소득 150% → 200% 이하 까지
✓(신규)영유아발달컨설팅
○ 관내 어린이집 재원 3세 아동
○ 발달지연 또는 부적응 행동
아동 조기발견을 위한 영유아발달검사 및
컨설팅, 병원 등 기관 연계
✓(신규)누리과정보육료 추가지원
○ 관내 어린이집 재원 아동
보육료 추가지원 확대
5세 월 5만 원 → 4~5세 월 5만 원
✓대체인력지원금
○ 출산휴가,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외에
육아휴직, 파견사용 시에도 지원
○ 지원금 월 80만 원 → 월 120만 원
✓동료업무분담 지원금
○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시 지원
육아기 근로시간 단축
+ 육아휴직시 까지 확대(월 20만 원)
✓유연근무 장려금
○ 육아기 유연근무시 지원금액 확대
월 최대 40만 원 → 월 최대 60만 원
✓임산부 직장맘 고용유지 지원금
○ 임산부 근로자 육아휴직 후 고용유지한
관내 100인 미만 사업장에 지원(1백만 원X4개월)
○ 300인 미만 사업장 → 100인 미만 사업장